
하위권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팀들도 있다. 6전 전패를 기록한 상하이 드래곤즈와 예상외의 부진을 보이고 있는 댈러스 퓨얼, 그리고 북유럽 선수들로 구성된 플로리다 메이헴이 하위권에 머무르고 있다.
하지만 두 꼴찌 팀의 분위기는 너무나도 다르다. 두 팀의 분위기는 선수 입장 시간에 그 차이가 확연히 드러난다. 상하이는 선수 입장 때부터 의기소침한 모습이 역력한데 반해 플로리다는 언제 패했냐는 듯 당당하게 입장한다. 플로리다의 입장을 보고 있노라면 너무나도 자신감이 넘쳐 마치 선 세리머니 같이 보이기도 한다.
플로리다 선수들은 시즌 첫 경기에서는 다른 팀들처럼 평범하게 입장했다. 두 번째 경기인 보스턴전에서는 선두에 나선 'CWoosH' 요한 클링스테드가 홀로 WWE 회장 빈스 맥마흔의 특유의 걸음걸이와 팔동작을 따라하며 입장했다. 이는 격투기 선수인 코너 맥그리거가 경기 전 선보이는 것이기도 하다.
이후 플로리다의 입장 세리머니는 다양해졌다. 상하이전에서는 '강남스타일'의 말춤을 추며 입장했고, 휴스턴전에서는 선수 한 명을 들어 올려 자동차를 운전하는 자세로 입장했다. LA 발리언트전에서는 손가락 찌르기 춤을 추며 무대에 올랐다.

이제 오버워치 리그를 시청하는 팬들은 플로리다의 경기를 기다리게 됐다. 다음엔 또 어떤 모습으로 입장할까 궁금해졌기 때문이다. 플로리다의 의도가 어쨌든 간에 팬들의 관심을 끌어들이는 데는 확실히 성공한 모습이다.
플로리다의 성적은 바닥을 기고 있다. 하지만 성적과 팬심이 항상 비례하진 않는다. 장기적으로 봤을 때 꼴지를 하더라도 많은 팬들을 모을 수 있다면, 그 두터운 팬층을 통한 수익으로 더 좋은 선수들을 영입해 순위 반등을 꾀할 수도 있다.
수익뿐만 아니라 선수들이 받는 힘도 달라질 것이다. 연패를 거듭해도 팀 분위기만 무너지지 않는다면 언제고 치고 올라올 수 있는 능력을 가진 플로리다다. 선수들이 매번 즐거움을 준다면 팬들도 당장의 성적에 상관없이 그들을 응원할 테고, 그것은 결국 선수들에게 새로운 에너지로 돌아올 것이다.
상하이도 플로리다의 긍정적인 팀 분위기를 본받을 필요가 있다. 서양과 동양의 문화 차이로만 치부하기엔 상하이에 드리운 그림자가 너무 짙다. 선수들 스스로가 자신감이 넘칠 때 팬들도 응원할 맛이 난다. 팬들이 두 꼴찌 팀을 다르게 보는, 상하이보다 플로리다전을 기대하는 이유다.
이시우 기자(siwoo@dailyesports.com)